|
|
|
영남사람들 2021년 11월호
경주 지역화폐 '경주페이', 지역경기 부양 효과
윤용찬 기자 / yyc3113@naver.com 입력 : 2021년 11월 01일
|
 |
|
↑↑ (사진=경주시 제공) |
| 경주시 지역화폐 '경주페이'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액의 10%를 캐쉬백으로 돌려주는 제도가 소비자들의 역외 지출을 줄이는 대신 역내 지출을 높였기 때문인데, 무엇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 회복에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다.
경주페이는 지난해 6월 출시 이후 만 1년 4개월이 지난 현재 총 발행액 규모는 1440억원, 가입자 수는 7만4000여명으로 집계됐다.
또 최근 3개월 간 사용내역을 보면 일반음식점이 29%로 가장 많이 사용됐으며, 슈퍼마켓과 편의점 등 소매점이 21.6%, 주유소가 14%, 병의원과 약국이 9.4% 순이다.
특히 학원, 휴게음식점 등 주로 시민생활과 밀접한 업종에서 많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사용 연령별로는 40대가 29%, 50대가 25%, 30대가 18%를 사용하며 주로 사회 활동이 활발한 30~50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60대 이상 연령층도 전체금액의 15%로 나타나 고령층에서도 경주페이 사용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증가세에 경주시는 올해 인센티브 상한액을 설과 추석명절이 있는 2월과 9월은 최대 5만원, 나머지 달은 최대 3만원까지 당초 계획을 세웠다가, 10월부터는 인센티브 상한액을 최대 10만원으로 높였다.
이처럼 지역화폐 인센티브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나고 있지만, 재원을 감당해야 하는 정부와 지자체에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경주시는 정부와 지자체 인센티브 비율을 적절하게 조정해 시민에게 최대한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예산을 편성할 방침이다.
실제로 올해만 해도 경주페이 당초 예산이 조기 소진되자 행정안전부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하며, 예산을 139억원(국비 79억원, 도비 18억원, 시비 42억원)으로 증액하기도 했다.
예병원 경제정책과장은 "경주페이 사용자와 소비금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경주시민들의 생활카드로 자리매김했다"며 "경주시는 앞으로도 경주페이가 지역경제의 선순환으로 이어져 소상공인들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
윤용찬 기자 / yyc3113@naver.com  입력 : 2021년 11월 01일
- Copyrights ⓒ영남사람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가장 많이 본 뉴스
경주시의회 문화도시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중 현장방문 실시
|
경주시, 지역화폐 경주페이 월 한도 70만원으로 상향
|
경주시, 이탈리아 아그리젠토·폼페이와 교류협정 체결
|
APEC 2025 KOREA 브리지 토너먼트, 경주서 개막
|
경북문화관광公, 빅데이터 기반 1분기 경북 관광 동향 발표
|
경주시, 대형재난 대응 위해 경주소방서·농어촌공사와 맞손
|
경주시, 민선 8기 3주년 앞두고 확대간부회의 개최
|
경주시, 혼인신고 부부에 축하 기념품 증정
|
경주시, 시내버스 입석·좌석 요금 7월부터 통합
|
경주시, 장마철 집중호우 대비 산업단지 13개소 집중 점검
|
칼럼
|
방문자수
|
어제 방문자 수 : 3,057 |
오늘 방문자 수 : 2,350 |
총 방문자 수 : 11,134,755 |
|
상호: 영남사람들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양정로 261-1,3층(동천동) / 발행인·편집인 : 윤용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용찬 mail: yyc3113@naver.com / Tel: 054-777-6666 / Fax : 054-777-666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Copyright ⓒ 영남사람들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함
|
|